backup/it
-
mac 숨김파일 보기backup/it 2011. 10. 28. 19:12
[원본] http://blog.daum.net/tedkenan/65 윈도우의 경우 제어판의 폴더 속성에서 숨김 파일보기 옵션을 클릭해주는 것만으로 하드 드라이브 내의 모든 파일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맥은 시스템환경에서 이를 지원해 주지 않아 다소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아예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이 하시면 간단하게 숨김 파일을 열어 볼 수 있습니다. # 테스트 환경 : OS X Snow Leopard 10. 6. 4 Step 1 : OS X 메뉴바 우측 상단 돋보기 모양의 "Spotlight"를 클릭하여 "Terminal"이라 입력하고 return을 눌러 Terminal을 실행합니다. Step 2 : 다음과 같이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명령어) -> defaults write c..
-
리눅스에서 윈도우 갈아타기backup/it 2011. 6. 15. 10:14
자세한 설명은 MS홈페이지에 나와있다. http://support.microsoft.com/kb/314458/ko 1. 리눅스 설치 CD로 부팅해서 설치과정 진행 중에 ctrl+alt+f2를 누르면 프롬프트로 넘어간다. 2. fdisk /dev/sda를 입력하면 파티션 메뉴가 나오고 여기서 D 를 입력해서 파티션을 지워준다(삭제 파티션 번호 입력해서 모든 파티션 제거) 3. 윈도우 CD를 넣고 ctrl + alt + del을 눌러 재부팅하면 윈도우 설치메뉴로 이동... 윈도우를 설치해준다.!
-
autorun 악성코드 예방법backup/it 2009. 12. 10. 17:58
autorun은 cd-rom에 cd를 넣거나 이동식 디스크를 usb 포트에 연결할 경우 자동으로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이 자동실행 기능이 악성코드 감염에 악용되고 있다. 이동식 저장장치가 악성코드에 감염됐거나 악성코드 자동실행 파일이 복사된 경우 사용자가 모르게 자동실행을 통해 시스템이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고 그로인해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usb메모리를 컴퓨터에 연결했을 경우 내컴퓨터에서 클릭해서 들어갈 때 usb 루트폴더에 autorun.inf가 존재하면 그 파일이 먼저 실행되고 이를 이용해 악성코드가 전파된다. autorun 악성코드는 다른것과 마찬가지로 이메일, p2p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감염된 후에 컴퓨터에 이동식 저장장치나 혹 ..
-
cyban, 32bbi0 망할 악성코드backup/it 2009. 12. 10. 17:17
전에 치료한 줄 알았던 바이러스들에 다시 감염이 됬다. 이게 왠일인가해서 다시 치료해보고 외장 HDD까지 포맷해서 치료를 했는데.... 아직도 남아있다니... 아마 완벽하게 지우질 못했던것 같다.. 꽁꽁 숨어있는 망할 악성코드를 지우는 새로운 방법 이 악성코드들은 보통 c:\나 d:\ 같은 루트드라이브나 system32폴더안에 숨어있는 것 같다. 허나 내컴퓨터나 탐색기로는 볼 수가 없다. 따라서 도스창(실행 - cmd)에서 확인하면 볼 수 있다. 시작 - 실행 - cmd - cd\ 하면 c:\ 드라이브로 이동 dir/a 하면 모든 파일들을 볼 수 있다 (이때 파일들이 너무 많으면 dir/ah 나 attrib 하면 숨김파일이나 속성이들어있는 파일만 볼 수 있다) 대게 악성코드들은 숨김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
악성파일 잡기!!backup/it 2009. 12. 8. 15:14
감염확인 방법 시작 - 실행 - cmd - c:\ - dir/ah 입력했을때 autorun.inf 등 못보던 exe파일이 보인다면 바이러스 감염이라 볼 수 있다. 나 같은경우는 시작프로그램에 cyban.exe라는 실행파일이 등록되고 없애도 없어지지가 않아서 알아보니 감염이었다. 증상은 숨김파일표시 설정을 해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우고 싶어도 보이지가 않아 지울수가 없다. 따라서 우선은 숨김파일이 표시되도록 해야 한다. 방법1. 레지스트리 설정으로 HEK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Advanced\Folder\Hidden\Showall 여기서 CheckedValue 값을 더블 클릭 후 값 데이터 0을..
-
시작프로그램 기능과 관리backup/it 2009. 12. 8. 15:01
놋북을 산지 며칠 되지도 않았는데 처리되지 않은 WIN32 예외가 어쩌고한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이유도 많다..그 중 하나가 프로그램 충돌,, 안그러던게 갑자기 그러니 아마 최근에 새로 설치한 프로그램끼리 충돌이 일어나서 그런게 아닌가 싶어 시작프로그램을 만지기 시작했다. 항상 할때마다 느끼지만 뭐가 뭔지 기억이 나지 않아서 또 찾아봤다;;; 그래서 다음을 위해 정리 해본다.. IMJPMIG CTFMON 보조기능 - 삭제 X TINTSETP CTFMON 보조기능 - 삭제 X ctfmon IME 한글 입력기로서 한영 입력 관리 - 삭제 X SynTPEnh 터치패드 관련(SynTPLpr) RTHDCPL 후면 패널을 통해 단자 기능을 변경할때 사용 - 삭제 O ALCMTR 리얼텍 사운드 - 삭제 O NvMcT..
-
삼성 노트북 SENS모델명 앞에 붙는 S,Q,R,T의 뜻backup/it 2009. 12. 8. 14:45
이번에 노트북을 사면서 몰랐던걸 많이 알게됐다. 이번 X460을 고심끝에 장만하면서 알게된 삼성 센스 모델명의 뜻이다. 대충 모델명 앞에 알파벳 만으로 노트북을 어느정도 가늠할 수 있다. X - 고급형 노트북으로 현재 13, 14인치 모델만 나와있다.(구매한 내 놋북 ^^) R - 14~17 인치 보급형 노트북 N - 넷북 Q - 12, 13인치 노트북으로 R 시리즈와 디자인이 다르게 나온다 G - 19인치의 데스크노트로 배터리가 없는걸로 알고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노트북은 비싸게 사서 오래쓰는게 좋은거 같다. 그런의미로 X시리즈가 좋겠지만 개인별로 각자 목적에 맞게 고르면 될듯싶다. 예를 들어 성능에 큰 관심없이 서브급으로 들고다닐 목적이라면 넷북이나 Q시리즈가 괜찮을 듯하고 가격대비 성능을 바란다면..